뉴스




프로필 이미지
김종성
2024-07-15
조회 17

정보기술(IT) 업계가 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는 상황이 잇따르면서 과업분쟁 해결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진다.

발주자와 사업자 모두 과업 추가·변경 문제에 합리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다.

LG CNS 컨소시엄과 CJ올리브네트웍스-KCC정보통신 컨소시엄이 각각 복지부와 국방부를 상대로 소송을 벌이는 주된 이유는 과업변경에 대한 추가 대가를 받기 어려운 환경 때문이다. 


관련기사링크 : https://www.etnews.com/20240711000240

프로필 이미지
김종성
2024-07-11
조회 25

미국이 글로벌 인공지능(AI) 관련 투자액에서도 압도적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의 글로벌 정부·민간 분야 AI 투자 동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 정부와 민간의 AI 투자액은 874억1000만달러(약 120조7800억원)로 2015년 대비 4배 이상 성장했다.

지난해 세계 정부·민간 AI 투자액은 1419억 달러(약 196조원) 규모로 추정되며 미국 투자액이 전 세계 62%를 차지했다.

2위 유럽연합(EU)의 AI 투자액이 차지하는 비중은 8%, 3위 중국은 7%로 1위 미국과 큰 차이를 보였다.

지난해 미 연방정부 부처 산하 AI 연구개발과 국방 분야 AI 연구개발 예산은 각각 30억9000만달러(약 4조원)와 38억달러(약 5조원)였다. 


관련기사링크 : https://www.etnews.com/20240709000333

프로필 이미지
김종성
2024-07-02
조회 33

서울시가 정보 사업과 관련한 중앙정부 지침과 시 조래 규칙을 단계별로 정리한 '정보화 사업 관리 가이드라인'을 지난 6월 개정했다.

명확한 정보화 사업 절차를 마련하고, 체계적으로 정보 시스템을 관리하도록 돕는 가이드라인으로 전반적인 디지털 서비스 품질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정보화 사업 관리 가이드라인'은 처음 사업을 발주하거나 발주 절차가 익숙하지 않은 사업 담당자에게 법·제도 절차와 사업 단계별 업무지침을 안내한다.

서울시는 최근 중앙정부의 법·제도 개정안을 반영하고, 서울시 조래 규칙도 모두 포함했다.

대표적으로 행정안전부가 지난 1월에 개정한 '전자정부법에 따른 전자정부 성과관리 지침', 지난해 10월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W 진흥법 시행령'을 반영했다.

서울시는 인공지능(AI),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 등 신기술 사업을 도입할 때 필요한 절차도 새롭게 추가했다. AI는 공공 도입 초기 단계로 기술 적용에 필요한 고려사항과 점검사항을 중심으로 작성, 사업 추진에 따른 단계별 준수사항은 추후 구체화할 계획이다. 


관련기사링크 : https://www.etnews.com/20240701000050

프로필 이미지
김종성
2024-07-02
조회 19

오픈AI의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 '챗GPT'가 기업 재무제표를 분석해 인간 애널리스트보다 더 정확히 미래 실적을 예측할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일 금융투자 및 AI 업계에 따르면 미국 시카고대 경영대학원의 발레리 니콜라예프(회계학) 교수팀은 이런 내용의 논문 '거대언어모델(LLM)을 통한 재무제표 분석'을 인터넷에 공개했다.

LLM은 언어에 특화한 생성 AI 모델로, 챗GPT의 핵심 엔진 역할을 한다.

니콜라예프 교수팀은 기업 1만 5401곳의 최근 수십년간 재무제표 15만여건을 입수해 업체 이름과 연도를 알 수 없도록 익명화 처리했다. 이를 챗GPT의 대표 LLM인 'GPT-4'에 넣고, 정교한 프롬프트(지시문)를 써서 3단계에 걸쳐 재무제표를 분석하고 미래 실적 방향을 예측하라고 시켰다.

예컨대 '최근 3년 동안 회사 매출이 꾸준히 올랐다'(트랜드 분석), '영업 마진율이 25%로 개선 추세다'(비율 분석), '매출이 성장하고 영업 비용을 잘 관리해 실적이 계속 좋아질 것 같다'(심층 이유 분석) 식의 순서로 AI가 결론을 도출할 수 있게 한 것이다.

AI가 내놓은 실적 예측이 맞았는지 여부를 집계한 결과 정확도는 60.35%로 나타났다. 인간 애널리스트들이 실적발표 1개월 뒤에 내놓은 미래 실적 평균 예측의 정확도인 52.71%를 훨씬 앞지르는 수치다.

AI의 정확도는 인간 애널리스트들의 3개월 뒤 예측(55.95%)과 6개월 뒤 예측(56.68%)보다도 좋았다. 


관련기사링크 : https://www.etnews.com/20240701000249

프로필 이미지
김종성
2024-06-28
조회 18

“전 세계 기업 사례나 리포트를 보면 아직 가능성 차원에서 기술 발전에 집중하는 것 같다. LG AI 연구원은 생성형 AI 기술에 대한 연구 개발과 함께 실질적인 사업 성과를 창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해 현재 다양한 분야에 도입되어 새로운 이점들을 만들어가고 있다."

LG AI연구원의 이화영 상무는 27일 서울 중구 장충체육관에서 열린 ‘구글 클라우드 서밋 서울 2024’의 한국 키노트 발표에서 AI를 활용해 계열사의 사업 성과를 높인 사례를 발표했다.


관련기사링크 : https://zdnet.co.kr/view/?no=20240627152339

프로필 이미지
김종성
2024-06-20
조회 18


수행장소 자율화·보안인증 완화
개발환경 개선되며 품질도 향상
정부·국회에 “최우선 처리” 요구

국내 소프트웨어(SW) 업계가 22대 국회에서 원격지 개발 보완 입법을 최우선으로 요구하기로 했다.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KOSA)와 중견·중소SW기업협의회는 원격지 개발 활성화를 위한 개선안을 수립 중이다. 안이 마련되면 정부와 국회에 입법 제안할 계획이다.

현행 소프트웨어진흥법은 '국가기관 등의 장은 소프트웨어 유지·관리를 제외한 SW 사업을 발주할 때 사업자가 사업수행 장소를 제안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프로젝트 수행 기업이 발주처에 원격지 근무를 '제안할 수 있다'는 것으로 의무나 강제가 아니다. 이 탓에 원격지 개발 확산이 더딘 상태다. 이 조항을 법에 넣어 완전 자율화하도록 개선하자는 것이 SW 업계 의견이다.


관련기사링크 : https://www.etnews.com/20240619000250

프로필 이미지
김종성
2024-06-10
조회 18

이르면 연내 로드맵 구축
행정망 장애 종합대책 일환
책임 감리·PMO 도입 검토
업계 “범위·권한 명확화 필요”


정부가 공공부문에 정보시스템 감리제도를 도입한 지 20여년만에 제도 개선에 나선다.

전자정부사업관리(닫기피엠오 (PMO : Project Management Office): 예산이 20억 원 이상인 공공 정보화 사업에 갖춰야 할 프로젝트 관리 조직상세보기▶PMO) 제도 역시 개선 필요 여부를 살피는 등 제도 혁신을 통해 공공 정보화 사업 완성도와 품질을 확보할 방침이다.

9일 행정안전부 관계자는 “공공 정보화 시스템 품질과 안정성을 높이는 중요 수단으로 감리와 PMO 역할이 중요하다”면서 “조만간 용역 사업자를 선정해 사업 결과를 토대로 이르면 연내 로드맵을 만들 계획”이라고 말했다.

2005년 시작된 공공부문 정보시스템 감리제도는 2007년 감리 의무화법이 시행되면서 자리를 잡기 시작했다. 주요 공공 정보화 시스템 구축 시 문제점을 사전에 발견, 발주자와 사업자에 이를 개선하도록 권고하면서 안정성과 품질 등을 높이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관련기사링크 : https://www.etnews.com/20240605000234

프로필 이미지
김종성
2024-06-03
조회 22

 공공 소프트웨어(SW) 사업은 그동안 국민들의 서비스 복지 향상과 더불어 국내 중소기업의 성장과 일자리 창출에 기여해 왔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기업들은 공공시장에 매력을 느끼지 못하고 사업 참여를 꺼리는 상황에 이르렀다. 제대로 된 보상은커녕 수시로 바뀌는 과업에 손해까지 감수해야 하는 상황으로 내몰린 것이다. 단순히 SW사업의 기능점수(FP) 단가 인상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예산 증액과 원격지 개발 활성화, 변동 계약 도입 등의 개선 없이 공공사업 정상화는 어렵다는 게 일반적인 시각이다.


최근 소프트웨어 업계의 초점은 SW 사업 수행에 대한 ‘제값 받기’에 쏠려 있다. 합당한 보상을 받기 위해 업계가 지속적으로 인상을 요구해 온 기능 점수 단가(Function Point; FP)가 지난달 9.5% 상승하며 한숨을 돌릴 수 있게는 됐지만, 근본적인 문제 해결에는 도달하지 못했기에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는 것이다.

본지가 이번 인상에 앞서 진행한 인터뷰에서 소프트웨어 업계 관계자들은 FP 단가 인상률 발표 전 “최소 10% 이상 대폭 올려야 한다”는 의견을 제기한 바 있다. SW 개발 단가는 2010년부터 2023년까지 13년 동안 단 두 차례에 걸쳐 인상됐으나, 최저임금 인상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이 기간 비용이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FP는 도입 이후 물가상승률, SW 기술자 임금인상률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FP 당 단가는 2010년 49만 7,427원으로 고시된 후 2014년 4.4% 인상된 51만 9,203원, 2020년에는 6.5% 인상된 55만 3,114원을 기록했다. 2010년 대비 총 ‘11.2%’ 오르는 데 그쳤다.

반면 개발원가 인상률은 2015년 5.8%, 2016년 4.8%, 2017년 6.7%, 2018년 7.5%, 2019년 11.2%로 매년 상승했다. 특히 2020년 이후에는 16.1%, 20.2%, 21.7%, ‘26.4%’로 상승폭을 더욱 확대했다. FP 단가가 인상 없이 머물러 있는 것과는 확연히 다른 모습을 보였다.

그동안 SW 업계에서는 FP 단가 인상을 줄곧 외쳐왔다.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 단가가 SW 산업의 지속 가능성을 위협하고 있으며, 개발 품질과 프로젝트의 안정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의견이다.

특히 한 업계 관계자는 “FP 단가의 상승은 제한적이었지만 인건비와 같은 주요 비용 요소는 급격히 증가했다”며 “SW 개발 시 발생하는 품질 사고와 장애의 근본적인 원인은 바로 예산 부족에서 기인한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링크 : http://www.itdaily.kr/news/articleView.html?idxno=223559

프로필 이미지
김종성
2024-05-22
조회 22

“합리적 공공 소프트웨어(SW)사업 추진을 위해 과업확정부터 변경, 추가 과업에 대한 대가지급 등 체계적 개선이 시급한 시점입니다.”

전자신문과 한국IT서비스산업협회가 '합리적인 공공SW사업 관리를 위한 과업변경 제도개선'을 주제로 공동 주최한 좌담회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공공SW 사업환경 개선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과심위, 제 역할 하고 있나…실질 운영 이끌어야 

◇과업 변경 시 추가 예산 확보 필수 

◇발주자 책임 줄여야…사업자 노력도 중요 

◇공공 발주 전문성 확보해야


 관련기사링크 : https://www.etnews.com/20240521000224

프로필 이미지
김종성
2024-05-21
조회 21

발주처 초기 계획 없던 추가 요구
수행사 품질 저하·개통 지연 부담
과업범위 둘러싼 대립, 소송까지


대형 공공 소프트웨어(SW) 사업에서 잦은 과업변경을 둘러싸고 발주처와 수행사간 분쟁이 끊이질 않고 있다.

최근 진행된 대형 공공 SW사업 상당수가 비슷한 상황에 직면한 가운데 추후 법적 분쟁까지 예상되는 경우도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주요 공공SW 사업 갈등 사안


관련기사링크 : https://www.etnews.com/20240520000231